- 목차 (Content)
fbs 출금·입금
FBS 개념은 주로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사용하는 경제 용어로, Firm Banking System, 다른 말로는 펌뱅킹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입금 내역 또는 출금 내역에는 보통 'fbs 출금' 'fbs 입금'으로 표시되며, 개인이 fbs출금으로 가장 많이 이체되는 대금은 통신요금이나 핸드폰 소액결제 대금으로 이용된 금액입니다.
FBS(Firm Banking System) 출금/입금 의미
앞서 말했듯이 FBS의 다른 이름은 펌뱅킹으로, 기업체의 호스트 컴퓨터와 금융기관의 서버를 전용회선 또는 통신망(VAN)으로 연결하여 기업자금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금융서비스의 일종입니다.
펌뱅킹(FBS)은 기업의 모든 거래 프로세스를 은행의 시스템과 상호 연동하여 지급결제 업무까지 자동화함으로써 기업의 자원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데 필수적인 서비스라 할 수 있습니다.
개인에게 많이 적용되는 FBS 출금은 통신요금으로, 통신사는 사용자가 설정한 주거래 은행과 월 단위로 통신요금을 비롯해 핸드폰 소액결제 대금을 전용회선(혹은 통신망)을 통해 요청하게 되고, 은행은 요청 사항을 확인한 후 통신사에게 대금을 바로 전달하게 됩니다.
FBS 출금은 은행과 기업 간에 요청 및 승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대금 지불 방식으로, 개인이 별도로 설정하는 것은 없습니다.(개인은 통신사에 대금 지불 방식만 설정하면 됩니다.)
FBS 입금은 여러 사례가 있을 수 있지만, 간편 결제 또는 송금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이트나 앱을 통해 돈을 이체 혹은 송금하는 경우 표시됩니다.
간편 결제 또는 송금 서비스로 많이 애용되는 토스나 카카오페이 등으로 송금 또는 이체되는 돈은 거래내역에 'FBS입금' '펌뱅킹 입금'으로 나타납니다.
개인은 'FBS 출금' 'FBS 입금'으로 표시되는 내역에 크게 역점을 두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표시된 금액이 올바른지 그리고 출처가 혹여나 내가 모르는 곳으로 입금 또는 출금되지는 않았는지 여부는 체크해야 합니다.
댓글